📰 이번 연준 회의,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이유

우리 시간으로 수요일 새벽 4시에는 FOMC 회의가 열립니다. 이번 회의의 결과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금리 인상 사이클의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중요한 금리 결정이 예정돼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 연준은 금리를 0.25%p 올릴 가능성이 높은 상황인데요. 인상 여부보다는 ‘이번이 마지막 금리 인상이냐’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죠.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 흔들리는 미국, 이번엔 이것이 문제?

시장을 흔들었던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가 진정 국면으로 들어간 것 같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미국 국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미 국채의 CDS 프리미엄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는 소식 때문입니다. CDS(Credit Default Swap)란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가 부도날 경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금융 파생상품을 의미합니다.

달러

📰 연준의 금리 고민이 더 깊어진 속사정!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닉 티미라오스라는 기자가 있습니다. FOMC 회의를 앞두고 중요한 힌트를 주곤 해 ‘연준의 비공식 대변인’이란 별명이 붙었는데요. 오늘은 최근 나온 닉 기자의 기사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머니마켓펀드(MMF)로의 자금 쏠림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연준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 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 어제 ‘기준금리 동결’의 진정한 의미

어제 기준금리가 연 3.5%로 동결됐습니다. 작년 4월부터 지난달까지 7차례 연속 금리를 올린 이후 처음으로 멈춰섰다는 점에서 큰 의미입니다. 헌데 당장 걱정되는 건 이것이죠. ‘미국은 금리를 더 올릴 것 같은데, 우리만 먼저 동결하면 한-미 금리차가 커져 환율이 더 오를 텐데?’ 오늘은 어제 한국은행 금통위의 기준금리 결정이 갖는 의미를 간단히 정리해보록 하겠습니다.

금리 인상 인하

💡 어제 연준 결정에 숨겨진 3가지 포인트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2월 FOMC 회의에서 금리를 0.25%p 인상했습니다. 작년 한 해 동안은 한 번에 금리가 0.5~0.75%p씩 올라 0.25%p 인상이 어색하게 느껴지긴 하지만, 원래 금리 인상은 0.25%p씩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합니다. 금융 시장은 전반적으로 크게 환호하는 모습이었는데, 연준의 금리 결정에 숨은 이야기들을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올해 ‘쉬운 돈’이 사라진 이유와 의미

새해가 되면 다양한 기관에서 전망, 나아가 예언을 내어놓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가 내놓은 새해 전망에선 Zeteophobia(제테오포비아)라는 다소 생소한 용어가 소개됐습니다. 세상에 큰 변화가 있었단 걸 알게 됐으면서도 그 변화에 대처할 필요는 없길 바라면서 삶의 태도를 바꾸는 데 주저한다는 의미입니다. 작년엔 정말 다양한 일들이 많았는데요. 2023년이 시작하자마자 중요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 내용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2022년 자산 시장의 5가지 포인트 총정리

정말 다사다난했던 2022년이 끝났습니다.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거의 대부분의 자산 가격은 크게 하락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에서는 2000년 이후, 자산군별 수익률 순위를 공개하는데요. 올해 수익률 순위는 원자재·현금·금·미국 국채 순으로 좋은 성과를 보였고, 반면 리츠와 신흥국 주식, 미국 주식 순서대로 안 좋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오늘은 자산군별 수익률 순위를 따져보고, 특징적인 자산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올해 마지막 FOMC, 3가지 핵심 포인트

올해 마지막 FOMC 회의에서 연준은 금리를 0.5%p 인상했습니다. 이로써 2022년은 연준의 금리 정책에서 전무후무한 해로 기억될 전망인데, 3월부터 금리를 무려 4.5%나 올렸고, 자이언트 스텝(0.75%p)도 3차례나 했기 때문입니다. 12월 FOMC 회의에서는 금리 인상뿐만 아니라 몇가지 추가로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들이 있는데요. 오늘은 그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