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쏘카, ‘타다’ 빅딜 내막

토스-쏘카, ‘타다’ 빅딜 내막
이철민의 리멤버 밸리

새로운 사실: 지난 8일 토스가 타다의 지분 60%를 인수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는 소식이 알려져 큰 화제가 됐습니다. 모바일 금융 플랫폼으로서 확장 중이던 토스가 위기에 처한 모빌리티 사업자 타다를 인수할 것이라는 예상을 하기는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쏘카의 계륵이 된 타다: 토스의 타다 인수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단 양측의 상황을 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타다는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인 쏘카의 자회사 VCNC가 2018년 출범시킨 모빌리티 서비스입니다. 한때 150만명이 넘는 회원수를 확보하기까지 했으나, 규제의 난관을 극복하지 못하고 작년 3월 대표 서비스인 승합차 호출 서비스 ‘타다 베이직’을 중단해야 했습니다. 이후 가맹 택시 서비스인 ‘타다 라이트’를 중심으로 한 맞춤형 모빌리티 서비스들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지만, 지난해 매출 60억원과 당기 순손실 112억원을 기록하며 자본 잠식 상태에 빠져 있는 상황입니다.

타다의 모회사 쏘카 역시 지난해 600억원의 당기 순손실을 기록해 타다를 지원할 여력이 없었습니다. 외부 투자 유치로 유니콘 반열에 오르긴 했지만, 상장을 하려면 쏘카 자체의 성장에 집중해야만 하는 상황인 것입니다. 더구나 경쟁이 심화되고 규제가 확대되던 터라, 수익성 개선 가능성이 크지 않았던 타다에 기대를 갖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때문에 쏘카로선 타다를 아예 매각해 연결고리를 끊어내는 것도 고려했을 것이지만, 타다의 상황을 고려 했을 때 인수에 나설 매수자를 찾는 일은 힘들었을 것입니다.

모빌리티에서 새 활로 찾는 토스: 한편 2015년 간편 송금 서비스를 시작한 토스(회사명 비바리퍼블리카)는 간편 결제, 증권, 금융 상품 중계에 이어 최근 은행업까지 진출하며 대표적 금융 플랫폼 사업자 중 하나로 성장 중입니다. 빠른 매출 확대와 회원수 증대로 데카콘(기업 가치 10조원 이상)으로 평가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토스도 나름의 고민이 깊은 상황입니다. 간편 송금 서비스는 정체되어 있고, 간편 결제 서비스는 카카오, 네이버를 비롯한 다양한 선발주자와의 경쟁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최근 플랫폼 사업자들에 대한 규제 확대로 금융 상품 중계 서비스에 타격이 예상되는 데다가, 새로 진출한 은행업은 대출 규제의 유탄을 맞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910억원의 당기 순손실을 기록하는 등 수익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고민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

토스 경영진이 모빌리티를 하나의 대안으로 고민하기 시작한 건 바로 이 때문입니다. 카카오가 택시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결제를 모두 카카오 페이와 연동시켜 고객 기반을 급격히 확대했고, 결국 이 고객들이 일상적으로 카카오 페이를 쓰게 하는 데 성공했던 사례에 주목한 것이죠.

이렇게 타다에게서 활로를 찾고자 하는 토스와 타다의 경영권을 넘겨 몸을 가볍게 하고자 했던 쏘카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게 이번 타다 인수의 배경입니다.

토스쏘카 빅딜 성공은 미지수: 그러나 이 빅딜이 아직 성공이라 속단하기는 힘듭니다. 타다가 기존 토스 서비스 이용 확산에 도움이 되기 위해선 이미 카카오란 독점자가 자리한 모빌리티 시장에서 의미 있는 규모로 타다를 성장시켜야 합니다. 지금은 사라진 타다 베이직과 유사한 형태의 대형 택시를 선보이겠다고 선언한 이유입니다.

문제는 이를 위해 막대한 투자를 쏟아부어야 하고, 자칫 단기적으로는 더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실상 독점 사업자의 입기를 구축한 카카오 모빌리티조차 지난해 340억원의 큰 손실을 기록했다는 것이 이런 우려에 힘을 실어줍니다. 일각에서 토스의 타다 인수가 투자자들에게 지속적 성장을 보여주기 위한 무리한 선택이 아니냐 하는 의구심을 표출하는 이유는 바로 거기에 있습니다.

사모펀드 VIG파트너스의 대표이며, 투자ㆍ테크ㆍ미디어 분야에 대한 글도 쓰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이번엔 금리 동결했지만…
오늘의 이슈

새로운 사실: 한국은행이 어제 기준금리를 0.75%로 동결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금리 인상이 계속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하면서 시장에서는 11월에는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한은 총재는 기준 금리의 추가 인상 여부에 대해 앞으로의 경기 회복 수준에 달려 있다는 원론적인 답을 했으나 “8월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통화정책의 완화정도가 크게 낮아지지 않았으며, 실물경제도 금리인상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는 발언을 덧붙이면서 금리 인상 가능성에 좀 더 무게를 실었습니다.

앞으로 계속 인상?: 시장에서는 앞으로 한 번 정도 더 올리고 말 것이라는 의견과 11월 그리고 내년 이후에도 계속 금리를 잇따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동시에 나오고 있습니다. 내년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1.5%까지 오를 것으로 보는 시각과 코로나19 이전 수준인 1.25%에는 못미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시각입니다. 앞으로 경기가 어떻게 흘러갈지에 따라 두 가지 시나리오 모두 가능합니다.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예상의 가장 큰 근거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백신과 치료제 등으로 관리가능한 범위에 들어오게 될 것이라는 점, 경기가 나빠질 것이라는 우려의 가장 큰 근거는 공급망 차질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생각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전세대출 규제의 딜레마
오늘의 이슈

새로운 사실: 정부가 조만간 가계대출 관련 추가 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전세대출도 일시상환이 아닌 원금 분할상환으로 바꾸고 매월 지출하는 원금과 이자가 소득의 일정부분을 넘으면 전세대출도 대출을 제한하는 내용이 담길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전세 취지 무색해지는 원리금 동시 상환: 정부의 대책에 이런 내용이 담길 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지만 전세대출을 원리금 분할상환을 하도록 하는 것은 월세 부담 때문에 전세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선택과 정면으로 부딪칠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4억원의 전세대출을 2년 또는 4년동안 원금을 상환하도록 하면 1년에 1억원 이상의 원금 상환이 필요하므로 현실적이지 않고, 그렇다고 전세금의 일정 비율만 원금 상환을 하도록 강제한다면 어차피 전세계약이 종료되면 위험없이 전액을 돌려받을 전세금을 왜 원금까지 상환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답을 하기 어렵습니다. 원금의 일정 부분을 상환하려면 사실상 매월 수백만원을 원리금으로 상환해야 하는데 그 경우 월세보다 더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세대출을 이자만 매월 내는 현행 방식을 유지하면 전세 대출 최대금액인 4억원의 대출금의 월 이자가 100만원 수준이어서 무주택자들은 DSR 규제를 강화하더라도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4억원까지는 모두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정부 입장에서는 어느 쪽을 선택해도 문제가 생긴다는 의미입니다)

경제 평론가입니다. MBC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를 진행합니다.

놓치면 아까운 소식

🇯🇵 기시다 후미오 신임 일본 총리 내각이 부유층에 세금을 더 걷고, 기업의 인적 투자를 유도하는 온건 우파적 경제 정책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취임 직후엔 부유층 주식 매각 차익과 배당에 세금을 더 많이 걷는 금융소득세 개선안을 내놨고, 지난주엔 기업이 장기 투자를 꾀하도록 결산 보고 텀을 지금보다 늘리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반발도 만만찮아 닛케이 지수가 8일 연속 하락하는 등 금융 시장이 불안을 겪자 금융소득세 개선안을 철회하는 등 난항을 겪는 모양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