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6.수] 미국∙일본 사람들은 재테크 어떻게 하나

‘리멤버 나우’는 국내 최고의 경제 전문가들이 매일 아침 최신 경제 이슈를 설명해드리는 콘텐츠 레터입니다. (리멤버 나우의 저작권은 리멤버에 있습니다. 무단 전재와 배포를 금합니다.)

우리나라도 저성장∙저금리 시대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금리가 높을 때와 낮을 때의 재테크 방법이 같아선 안 되겠죠. 저금리 시대엔 자산을 어떻게 배분해야 할지, 다른 선진국 사례를 참고해 알아보겠습니다. 10월 16일 ‘리멤버 나우’입니다.

김영익의 이코노미 나우

미국∙일본 사람들은 재테크 어떻게 하나

우리 경제가 구조적으로 저성장과 저금리 국면에 진입하면서 가계의 금융자산 배분에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과 일본 가계의 자산배분을 비교하면서 향후 우리 가계가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할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우리나라 가계는 어떤 금융자산을 가장 많이 갖고 있나요?

각국 중앙은행들은 ‘자금순환’이라는 지표를 통해 가계가 어떻게 자산을 배분하고 있는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올해 3월 기준으로 한∙미∙일 가계의 금융자산 배분을 요약한 것입니다. 일본 가계는 현금이나 예금에 53%를 맡기고 있고 주식 비중은 10%로 낮습니다. 이와는 달리 미국은 현금 및 예금 비중은 13%로 매우 낮고, 주식 비중은 34%로 높습니다.  한국 가계의 경우에는 현금∙예금과 주식 비중이 각각 44%와 16% 로 미국보다는 일본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그림> 한미일 가계 금융자산 배분

자료: 각국 중앙은행

주: 2019년 3월 기준

2. 일본 은행 예금금리가 거의 0%인데, 일본 가계는 금융자산의 절반 이상을 왜 은행 예금 형태로 보유하고 있나요?

두 가지로 설명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디플레이션 때문입니다. 은행 금리가 0%라 할지라도 물가가 떨어지면 실질금리는 플러스가 됩니다. 물가가 하락한 만큼 실질 금융자산은 늘어난다는 의미입니다. 또 다른 이유는 인구 고령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일본 사람들이 상속받는 평균 연령이 67세 라 합니다. 거의 할아버지, 할머니 되어 상속받는 셈인데, 이 분들이 리스크를 싫어해서 그냥 은행에 돈을 맡긴다는 것이지요.

3. 일본과는 달리 미국 가계는 주식 보유 비중이 매우 높은데, 그 원인은 뭐고 미국 경제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일본 주가와는 달리 미국 주가는 장기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 가계는 주식을 저축 수단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문제는 주식 비중이 높기 때문에 주가가 내려가면 사람들의 소비도 줄어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 가계는 직접투자(34%)와 간접투자(12%)를 합치면 금융자산 중에서 46%를 주식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 주가는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소비심리와 거의 같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주가가 하락하면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70%를 차지하는 소비가 위축되고 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도 있는 이유입니다. 물론 주가가 오르면 반대의 영향을 주겠지만, 최근 미국 주가는 각종 경제변수를 과대 평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머지않아 주가가 하락하면 소비 중심으로 경제가 수축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림> 소비심리와 동행하는 미국 주가

자료: Bloomberg

4. 우리 가계의 경우는 어떤가요?

우리 가계의 자산 배분을 보면 미국보다는 일본에 가깝지요. 아래 표에서 보실 수 있는 것처럼 은행 예금 비중은 서서히 늘고 주식 비중은 점진적으로 줄고 있습니다. 우리 경제가 일본의 1990년대 초반처럼 구조적으로 저성장 저물가 저금리 형태로 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구 고령화 측면에서 보면 일본보다 우리가 더 빨리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고령화사회(전체 인구 중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 7%)에서 고령사회(그 비중 14%)에 도달하는데 일본이 24년(1970~94년) 걸렸는데, 우리는 17년(2000~17년)이었습니다. 세계에서 거의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이 고령화 속도가 빨리 진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표> 한국 개인의 금융자산 배분 추이 (단위: 조원, %)

자료: 한국은행

5. 앞으로 우리 가계는 어디에 돈을 투자하는게 바람직할까요?

지금은 아니지만 몇 년 후에는 우리 경제가 디플레이션 상태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 가계도 일본처럼 은행 예금 비중을 더 늘리고 주식 비중을 줄이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수익률 측면을 고려하면 주식 비중도 어느 정도 유지할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앞으로 은행 금리보다는 주식 시장에서 배당수익률이 더 높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단적으로 저는 삼성전자, 현대차, 포스코 임직원들 대상으로 강의하면서 월급 받아 은행에 맡기는 것도 좋지만 ‘당신네 회사 주식’을 더 사라고 권유하고 있습니다. 이들 회사의 배당 수익률은 3~5%로 은행이자보다는 높습니다.

또한 이들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주가순자산비율, PBR)이 과거에 비해서 많이 낮아졌습니다. 거시적 측면에서도 기업이익이 배당형태로 가계에 이전되고, 가계가 그 돈으로 소비를 하면 경제가 더 성장할 수도 있는 것이지요.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이며 이코노미스트로 20년 이상 일했습니다.

40만의 선택, 리멤버 커리어!

프로필만 등록해 놓으면 인사담당자들이 커리어 제안을 보내는 [리멤버 커리어]. 출시 석 달 만에 40만명이 프로필을 등록했습니다. 수천개의 기업이 채용제안을 보내고 있고, 새로운 커리어를 시작한 분들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프로필 등록은 1분이면 가능합니다. 지금 등록하고 새로운 제안을 받아보세요!

데일리 브리프

건강보험 탓에 의료비가 낭비되고 있다고?

건강보험에서 커버하는 치료의 범위를 넓힌 이른바 ‘문재인 케어’ 이후로 MRI 등 고가 의료행위의 빈도가 늘어났다는 소식입니다. 이런 데이터는 문재인 케어의 도입으로 불필요한 의료비가 과잉지출 또는 낭비되고 있다는 주장의 근거로 활용됩니다. 그러나 좀 다른 측면에서 볼 필요도 있습니다. 특정 의료장비가 과거보다 더 많이 쓰이는 것을 불필요한 의료행위로 볼 것인지 아니면  필요한 진단이었는데 과거에는 비용 문제로 못하던 것을 이제 할 수 있게 되어서 그 횟수가 늘어나게 된 것인지는 단순히 ‘늘어났다’는 사실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그걸 구별하지 않고 비용이 늘어난 사실만 갖고는 문재인 케어가 나쁜 정책인지 좋은 정책인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고가의 입원실 사용이나 종합병원 진료가 늘어난 것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그렇다고 ‘구별하기 어려우니 방치하자’는 것도 답은 아닙니다. 어느 수준의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지 여부를 환자가 결정하지 않고 의사의 판단을 따르도록 강제하는 시스템(이런 시스템을 도입하면 담당의사가 안보내주면 종합병원을 못 갑니다. 지금은 진료의뢰서를 써주는 병원을 찾아다니는 방식이니 어차피 어딘가에선 받을 서류라고 보고 대부분 써줍니다)을 도입하거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불필요한 의료행위를 최선을 다해 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게 조심스럽게 걸러내는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이런 방법도 부작용이 없지는 않습니다. 원하는 병원으로 가지 못한 환자들이 불만을 갖는 경우도 늘고 진료비 삭감을 우려한 부실진료도 생길 수 있습니다.

중간에 돈 못 빼는 펀드는 왜 나왔나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하는 펀드들 중에 환매가 중단되는 펀드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 펀드들은 투자금이 전환사채 등에 묶여있어서 당장 현금화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불안한 펀드 가입자들은 펀드환매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펀드가입자 입장에서는 모든 가입자들이 환매요청을 동시에 자제할 경우는 참고 기다릴 만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하루라도 먼저 빼는 게 비싸게 팔고 정리할 수 있는 요령이 되므로 환매신청을 안 하기도 어렵습니다.

이렇게 유동성이 떨어지는 자산에 투자한 펀드라면 만기 전에는 환매를 할 수 없는 폐쇄형 펀드로 운영하는 게 맞습니다만, 그럴 경우  펀드의 판매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언제든 환매해드린다는 조건을 붙인 것이 이 사단의 원인 가운데 하나입니다. 

데일리 체크

넷플릭스는 매달 1만원 남짓한 돈을 내면 넷플릭스가 서비스하는 동영상을 무제한으로 볼 수 있는 게 강점입니다. “그렇게 해서 뭐가 남나” 싶지만, 한번 돈을 낸 사용자는 좀처럼 끊지 않고 새로운 사용자는 계속 늘어나 사업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 교육업계에서도 넷플릭스의 구독 전략을 따라하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는 머니투데이의 분석입니다. 9900원을 내면 온라인 강의를 무제한 시청할 수 있는 티켓을 파는 식입니다.

타다와 택시와의 갈등이 좀처럼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차량공유와 택시의 갈등은 한국만의 일이 아닌데요. 말레이시아는 최근 승차공유업체 운전자들도 일종의 면허를 받아야 한다고 방침을 정했습니다. 이 제도 시행 이후 대표적 승차공유 업체인 그랩의 경우 전체 운전자의 41%만 면허를 취득해 서비스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경제 평론가입니다. MBC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를 진행합니다.

리멤버 나우를 지인들과 공유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