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즈니가 전설의 인물을 다시 소환한 이유

📻 오늘 뉴스레터는 리멤버 채용사업팀 김은영님이 직접 읽어드립니다. 텍스트가 불편한 분들은 오디오를 이용해보세요.

 

🎈 디즈니가 전설의 인물을 다시 소환한 이유
이철민의 리멤버 밸리

디즈니랜드 미키 미니

사모펀드 VIG파트너스의 대표이며, 투자ㆍ테크ㆍ미디어 분야에 대한 글도 쓰고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기대주’ 디즈니, 지금은? : 스타벅스와 디즈니. 둘 사이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가장 각광 받을 거라고 예상됐던 기업이란 점입니다. 팬데믹 이후 사람들의 생활 습관이 바뀌면서 장기적으로 큰 이익을 볼 수 있는 사업 모델을 갖고 있기 때문이죠(🔗관련 내용). 그래서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중반부터 두 회사의 주가가 급등하기 시작했습니다. 디즈니의 경우 코로나가 정점에 있던 2021년 3월에는 197달러라는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작년 여름 이후 미국을 시작으로 서서히 위드 코로나 체제로 전환되면서 디즈니 주가가 오히려 곤두박질치기 시작했습니다. 올해 들어서는 다른 성장 기술 기업들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더니 현재는 사상 최고가 대비 약 50% 하락한 상황입니다. 기대하던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왔는데도 말이에요. 가장 큰 수혜가 기대됐던 디즈니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부진했던 실적 : 우선 실적 자체가 부진했습니다. 디즈니의 회계연도는 전년도 10월 1일부터 해당연도 9월 30일까지인데요. 9월에 끝난 2022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디즈니의 매출은 828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코로나 직전인 2018년(590억달러)과 2019년(700억달러)을 크게 넘어섰지만, 시장 기대치에는 못 미쳤습니다.

더 큰 문제는 당기 순이익입니다. 2022년 당기 순이익 32억달러를 기록했는데, 2018년과 2019년 모두 100억달러 이상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부진한 결과였습니다. 게다가 내년에는 매출과 이익 증가 폭이 모두 시장 기대치를 밑돌 것이란 예측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돈 먹는 하마 된 디즈니+ : 실적보다 더 큰 문제는 따로 있습니다. 바로 기대를 모았던 디즈니+가 지속적으로 손실을 키워가고 있단 사실인데요. 사실 구독자 수는 순조롭게 늘려왔습니다. 디즈니 계열사이자 또다른 OTT 플랫폼인 훌루와 ESPN+을 합치면 2억3300만명의 구독자를 확보하여, 넷플릭스를 이미 넘어섰기 때문입니다. 고무적인 상황이긴 한데요. 문제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7~9월에만 무려 15억달러의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누적 손실은 80억달러에 달합니다. 가장 각광 받던 성장 엔진이, 정작 1위를 하고서도 손실 폭을 키우는 ‘돈 먹는 하마’가 된 것입니다(🔗관련 기사).

위기를 막아라?! 복귀한 밥 아이거 : 그래서 며칠 전인 11월 20일, 디즈니는 특단의 조치를 내렸습니다. 작년 12월 말 디즈니 이사회 의장에서 퇴임하면서 완전히 디즈니를 떠났던 밥 아이거를 다시 CEO로 복귀시킨 것입니다. 밥 아이거는 미국 방송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거물입니다. 1995년 디즈니가 ABC방송을 인수할 당시 ABC방송 모기업의 COO(최고운영임원)로 있으면서 디즈니에 몸담게 됐습니다. 그가 디즈니 본진에 진입한 건 4년 뒤인 1999년이었습니다. 디즈니 해외 비즈니스를 담당하는 자회사 COO를 겸직했고, 2000년에는 총괄 COO로 빠르게 승진했습니다.

그가 디즈니 부활의 전설로 불리는 이유 : 그리고 마침내 2005년에는 디즈니 CEO 자리를 차지하게 됩니다. 그때부터 이른바 ‘밥 아이거의 매직’이 시작됐는데요. 2006년 픽사 인수를 시작으로 2009년에는 마블을 인수했습니다. 그 결과가 어땠는지는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신의 두 수’였죠. 밥 아이거가 현재까지도 ‘디즈니 부활의 전설’이라고 불리는 이유입니다.

실제로 마블 인수를 기점으로 디즈니 실적과 주가는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마블 인수에 투자한 약 40억달러를 마블 영화만으로 약 5년 만에 모두 회수했기 때문입니다. 그 여세를 몰아 2012년에는 루카스 필름을 인수하며 스타워즈 프랜차이즈까지 확보했습니다. 그리고 2018년 20세기 폭스의 영화 부문(현재 이름 : 20세기 스튜디오)까지 인수하며 ‘디즈니 콘텐츠 제국’을 완성하게 됩니다.

복귀하자마자 주가 급등 : 콘텐츠뿐만이 아닙니다. 2016년에는 상하이 디즈니 랜드를 오픈했고, 2019년 디즈니+를 출시하며 현재 디즈니의 사업 구도를 완성하기도 했습니다. 그 결과 2009년 약 18달러의 저점에 있었던 주가가 12년 만인 2021년 197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 놀라운 성적을 거두고 떠난 밥 아이거가 구원투수로 복귀한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등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습니다(🔗관련 기사).

두번째 기적도 만들어낼까? : 다만, 현재 그의 앞에 놓인 숙제는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 디즈니+ 적자와 최근 인수했지만 별다른 소득이 없는 20세기 스튜디오의 부진이 쉽게 해소될 사안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테마파크와 크루즈 등 오프라인 사업에서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걸맞은 빠른 회복세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과연 그가 두 번째 기적을 이뤄낼지, 매우 흥미진진합니다.


💡 놓치면 아까운 소식

> 한은, 사상 첫 6연속 금리 인상 : 한국은행이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습니다. 사상 첫 6연속 금리 인상입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3.25%가 됐습니다(🔗관련 기사). 한국은행은 여전히 5%대로 높은 물가 상승률이 이어지고 있다며 금리 인상 배경을 설명했는데요. 다만 인상 폭은 최소화했다는 평입니다. 미국의 긴축 강도가 약해질 거란 기대감이 커졌고, 국내 자금 경색도 해소해야 한다는 배경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 英 이어 獨도 에너지 횡재세 : 얼마 전 영국이 러시아-우크라 전쟁과 전력난덕에 막대한 수익을 올린 에너지 기업을 대상으로 ‘횡재세’를 걷겠다 했었는데요. 독일도 이 횡재세 대열에 동참할 전망입니다(🔗관련 기사). 2018~2021년 평균 이익의 20% 이상을 벌어들인 에너지 회사들을 대상으로 수익의 33%를 환수할 계획이라네요. 이탈리아도 내년도 예산 초안에 에너지 기업 세율을 10% 이상 올리는 방안을 담았다네요.

📌 이런 소식도 있었습니다

美, 내달 금리 0.5%P만 올릴 듯…캐나다·호주도 속도 늦춘다

고파이, 결국 출금지연 사태 발생…‘코인런’은 일어나지 않을 듯

현금왕국 日, 내년부터 2년간 ‘디지털 엔화’ 실증 실험

국세청 ‘독점 논란’ 카카오 계열사 세무조사

미국 자동차협회마저도 “IRA 북미 최종조립 요건 완화해야”

리멤버에서 엄선한 프리미엄 재테크 콘텐츠는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