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콘텐츠 사업하기 힘드네

한국에서 콘텐츠 사업하기 힘드네
이진우의 익스플레인 나우

새로운 소식 : IPTV 서비스를 운영하는 통신3사와 그곳에 콘텐츠를 공급하는 CJENM이 콘텐츠 제공료를 두고 갈등을 벌이고 있습니다. CJ는 돈을 더 달라는 입장이고 통신사들은 그럴 수 없다는 쪽입니다.

돈 더 달라는 CJ의 논리 : CJ의 논리는 간단합니다. 음원회사나 웹툰회사나 영화관이나 콘텐츠를 사다가 고객들에게 팔아서 돈을 버는 구조인 사업자들은 전체 매출의 50~70%를 콘텐츠 구매에 사용하는게 일반적인데 통신사들은 17% 정도만 쓰고 있다는 겁니다. 드라마를 만들어도 외국에 팔면 제작비 또는 그 이상을 받을 수 있는데 국내 통신사에 팔면 콘텐츠 제공료가 제작비의 70%에도 못미치는 경우가 많아 PPL 등 다른 수익원을 찾아야 한다는 겁니다.

말도 안 된다는 통신사의 논리 :  통신사들의 반박논리도 명확합니다. IPTV는 홈쇼핑 송출수수료라는, 영화관 등은 갖고 있지 않은 다른 수익원이 있어서 전체 매출 대비 콘텐츠 구매비용이 낮을 뿐이며, 고객들에게 받는 월수신료와 비교하면 전체 수신료 수입의 50% 가량을 콘텐츠 구매에 이미 쓰고 있다는 겁니다. 해외보다 콘텐츠 구매비용이 낮은 부분에 대해서는 ‘정 싫으면 해외에 팔면 될 것 아니냐’는 입장입니다. 구체적으로는 CJ 등 제작사들이 해외 판매를 염두에 두고 제작비를 대거 투입해서 대작을 만들어놓고 국내 통신사에게 제작비도 안나오는 콘텐츠 비용을 제시한다고 하면 안된다는 논리입니다.

시장 논리가 아닌 힘겨루기 : 콘텐츠 제작사도 판매할 곳이 다양하고, 통신사들도 구매할 곳이 다양하면 자연스럽게 콘텐츠의 시장 가격이 형성됩니다. 그러나 국내 상황은 콘텐츠의 제공자도 제한적이고, 콘텐츠의 구매자는 더 제한적이어서 가격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습니다. 분쟁이 생기는 근본적인 원인입니다.

(우리 아니면 너희 아니면 팔 곳이 없고, 우리 아니면 너희가 살 곳이 없는 상황에서는 가격이 힘겨루기에 의해 결정됩니다. 양측의 논쟁에서 구체적인 수치보다는 인색 또는 오만 같은 감정적인 형용사들이 자주 등장하는 것도 그런 이유입니다.)

한국의 콘텐츠 사업이 어려운 이유 : 케이블TV 수신료를 좀 더 높이는 것도 대안이지만 넷플릭스등 OTT 서비스들이 이미 부상하고 있어서 현재 가격보다 더 높은 수신료를 고객들이 기꺼이 낼 이유도 적습니다. 인구가 작고 그래서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는 콘텐츠 사업자들이 성장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이기도 합니다.

경제 평론가입니다. MBC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를 진행합니다.

물가는 과연 계속 오를까?
오늘의 이슈

새로운 소식 : 5월 소비자 물가가 전년동기대비 2.6%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동기대비 상승률로는 9년만에 가장 높습니다.

금리 인상, 아직은 아니다 : 물가가 오르면 한국은행은 금리를 올려서 대응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5월의 물가 상승률은 물가가 많이 올라서가 아니라 작년 5월의 물가가 너무 낮아서 생긴 기저효과의 결과물입니다. 작년 5월은 코로나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0.3%였습니다.

앞으로도 물가는 계속 오를까? : 관건은 “앞으로도 물가가 계속 2% 대의 상승 흐름을 보일 것이냐” 입니다. 그러나 그럴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하반기가 되면 작년 하반기의 유가도 꽤 높았기 때문에 물가의 기저효과가 줄어들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6월까지는 기저효과가 있어서 꽤 높은 수치가 발표될 것입니다.

하반기에는 물가가 다시 안정을 찾을 것이라는 의견과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경계론이 서로 충돌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의견도 서로 다릅니다.

놓치면 아까운 소식

☕️ 한국처럼 커피를 많이 마시는 나라도 드물죠. 그래서 커피값이 오른다는 건 한국인에게는 예민한 소식입니다. 지난 1년간 커피 값은 70%나 올랐습니다. 주산지인 브라질의 가뭄이 주요한 원인입니다. 아울러 경기가 회복되면서 많은 원자재들의 값이 오르고 있는데, 커피값 상승도 그 영향의 결과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 일본이 세계 1위 파운더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TSMC에 2,000억원 상당의 자금지원을 하기로 했습니다. TSMC가 일본에 연구센터를 짓는데, 이 비용의 절반을 일본 정부가 부담해 주기로 한 것입니다. TSMC는 최첨단 ‘2나노’ 공정에 시험라인을 연내 완공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 아직 삼성전자가 갖추지 못한 기술입니다. 자동차 반도체 등 비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도 이 분야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만 TSMC는 1위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한편 파운드리 수주 가격은 수요 증가로 올 들어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